중국외교통상학부 (14학번 이전)
| 제1전공 |
이중/부전공 |
실용외국어 |
교양 |
자유선택 |
총 학점 |
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이중전공 |
54학점 |
54학점 |
4학점 |
22학점 |
- |
134학점 |
| 부전공 |
54학점 |
21학점 |
4학점 |
22학점 |
33학점 |
134학점 |
| 전공심화(부전공) |
75학점 |
21학점 |
4학점 |
22학점 |
12학점 |
134학점 |
| 전공심화(단일전공) |
75학점 |
- |
4학점 |
22학점 |
33학점 |
134학점 |
중국외교통상학부 (15학번 ~ 24학번)
| 제1전공 |
이중/부전공 |
교양외국어 |
교양 |
자유선택 |
총 학점 |
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이중전공 |
54학점 |
42학점 |
6학점 |
26학점 |
6학점 |
134학점 |
| 부전공 |
54학점 |
21학점 |
6학점 |
26학점 |
27학점 |
134학점 |
| 전공심화(부전공) |
70학점 |
21학점 |
6학점 |
26학점 |
11학점 |
134학점 |
| 전공심화(단일전공) |
70학점 |
- |
6학점 |
26학점 |
32학점 |
134학점 |
가. 대상 : 제1전공이 중국외교통상 전공인 학생
나. 필수교과 : 기초중국어(1)(2), 생활중국어(실용중국어)(1)(2), 중국학개론(1)(2)
- 기초중국어(1)(2) 미수강자는 <(기초)초급중국어>로 필수 수강해야 함
다. 경.정.공(경제/정치/공통)에서 7과목 필수 이수
- 타 학부를 이중 전공하는 경우 경/정/공 상관없이 7과목을 수강해야 함
- 전공심화를 선택한 경우 경제 혹은 정치 트랙에 따라 경/정 중 한 파트를 선택하여 7과목을 수강해야 함
중국외교통상학부 (25학번 이후)
| 제1전공 |
이중전공 |
부전공 |
교양 |
기초 |
졸업학점 |
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이중전공 |
42학점 |
42학점 |
- |
32학점 |
6학점 |
126학점 |
| 부전공 |
42학점 |
- |
21학점 |
32학점 |
6학점 |
126학점 |
| 전공심화(부전공) |
54학점 |
- |
21학점 |
32학점 |
6학점 |
126학점 |
| 전공심화(단일전공) |
54학점 |
- |
- |
32학점 |
6학점 |
126학점 |
가. 대상 : 제1전공이 중국외교통상 전공인 학생
나. 필수교과 : 초급중국어(1)(2)(기초), 중국어회화(1)(2), 중국학개론(1)(2), 실용중국어(1)(2)
다. 경.정.공(경제/정치/공통)에서 7과목 필수 이수
- 타 학부를 이중 전공하는 경우 경/정/공 상관없이 7과목을 수강해야 함
- 전공심화를 선택한 경우 경제 혹은 정치 트랙에 따라 경/정 중 한 파트를 선택하여 7과목을 수강해야 함
※ 순수외국인특별전형입학생(2015학번 이후) 및 편입생의 경우, 단일전공 시 전공심화 의무가 없음
※ 순수외국인특별전형입학생(2015학번 이후)은 이중(부)전공 선택 없이 단일전공만으로 졸업 가능
※ 전공심화의 경우 부전공이 선택사항임
특기자 및 중화권유학생 이수교과 요건
가. 특기자(제1전공 20학번부터)
- 대상: 중국어특기자전형, 재외국민전형, 글로벌리더전형, HUFS Diplomat전형 입학생
- 필수교과: 중국학개론(1)(2), 생활중국어(실용중국어)(1)(2), 시사중국어독해(1)(2)
- 기초중국어(초급중국어)(1)(2), 중국어작문 수강금지
- 생활중국어(실용중국어)(1)(2), 시사중국어독해(1)(2), 중국업무문서작성법(1)(2) 과목은 반드시 특기자반으로 수강해야 함(일반반으로 수강 시 학점인정 불가)
나. 특기자(제1전공 25학번부터)
- 대상: 중국어특기자전형, 재외국민전형, 글로벌리더전형, HUFS Diplomat전형 입학생
- 필수교과: 중국역사의이해(기초), 중국언어문화개론(기초), 중국학개론(1)(2), 생활중국어(실용중국어)(1)(2), 시사중국어독해(1)(2)
- 기초중국어(초급중국어)(1)(2), 중국어작문 수강금지
- 생활중국어(실용중국어)(1)(2), 시사중국어독해(1)(2), 중국업무문서작성법(1)(2) 과목은 반드시 특기자반으로 수강해야 함(일반반으로 수강 시 학점인정 불가)
다. 중화권유학생(제1전공 20학번부터)
- 대상: 순수외국인전형(중국, 대만, 홍콩, 마카오) 입학생
- 필수교과: 중국학개론(1)(2), 한중교류입문, 한중사회문화교류
- 기초중국어(초급중국어)(1)(2), 생활중국어(실용중국어)(1)(2), 중국통상중국어, 중국어작문, 중국업무문서작성법 수강금지
- 시사중국어독해(1)(2) 과목은 반드시 특기자반으로 수강해야 함(일반반으로 수강 시 학점인정 불가)
라. 중화권유학생(제1전공 25학번부터)
- 대상: 순수외국인전형(중국, 대만, 홍콩, 마카오) 입학생
- 필수교과: 중국역사의이해(기초), 중국언어문화개론(기초), 중국학개론(1)(2), 한중교류입문, 한중사회문화교류
- 기초중국어(초급중국어)(1)(2), 생활중국어(실용중국어)(1)(2), 중국통상중국어, 중국어작문, 중국업무문서작성법 수강금지
- 시사중국어독해(1)(2) 과목은 반드시 특기자반으로 수강해야 함(일반반으로 수강 시 학점인정 불가)
※KFL 지정 과목(2024-2학기까지 수강한 내역에 한해서 전공 학점으로 이수구분 변경 가능)
시기에 따른 과목 변동으로 인해 아래의 과목을 전공 과목으로 인정함.
| 2020년도 1학기 |
2020년 2학기 |
2021년 |
2022년 이후 |
|---|---|---|---|
| 대학한국어연습 |
한국어작문연습 |
한국어작문연습(중급) |
한국어번역글쓰기(1) |
| 전공한국어연습 |
한국어회화연습 |
- |
- |
| 한국어문화활동 |
한국어독해연습 |
한국어독해연습(중급) |
한국어학개론 |
| 한국사회의이해 |
미디어한국어청취 |
미디어한국어청취(중급) |
한국어발음이해 |
마. 북한귀순자전형 입학생은 ‘일반학생’과 동일한 학사 및 졸업규정을 준용함
14-19학번까지 (기존 규정)
기초중국어(1)(2) 수강 불가
기초중국어 8학점 대체 과목으로 중국외교통상학부(전공)에서 개설되는 한중사회문화교류, 한중교류입문, 혹은 경/정/공으로 분류된 과목을 수강하거나, 중국언어문화전공에서 개설되는 과목 중에서 아래 표에 속한 과목들을 수강할 수 있음.
생활중국어(1)(2) 특기자반, 중국학개론(1)(2) 필수 수강
| 변경 전 |
변경 후 |
|---|---|
| 고급중국어(1) |
고급중국어(1) [~2015-1] – 재개설과목[2020-1~] |
| 고급중국어(2) |
고급중국어(2) [~2015-2] – 재개설과목[2020-2~] |
| 미디어와중국어 |
미디어와중국어 [~2015-1] |
| 중국어방언연습 |
중국어방언연습 [~2015-2] |
| 중국어토론 |
중국어토론 [~2015-2] |
| 비즈니스중국어 |
비즈니스중국어 [~2016-1] |
| 중국어실용문연습 |
중국어실용문연습 [~2016-2] |
| - |
중한통번역실습 [2017-1~] |
| - |
중국어연설과리더십 [2017-2~] |
| - |
한중협상커뮤니케이션 [2017-2~] |
| 중급중국어(1)(2) |
중급중국어(1)(2) [~2019-1/2] |
*[ ]는 개설기간임
전공심화
| 제1전공 |
부전공 |
교양외국어 |
교양 |
자선 |
총 학점 |
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부전공(14학번) |
75학점 |
21학점 |
4학점 |
22학점 |
12학점 |
134학점 |
| 단일전공(14학번) |
75학점 |
- |
4학점 |
22학점 |
33학점 |
134학점 |
| 부전공(15학번부터) |
70학점 |
21학점 |
6학점 |
26학점 |
11학점 |
134학점 |
| 단일전공(15학번부터) |
70학점 |
- |
6학점 |
26학점 |
32학점 |
134학점 |
대상: 제1전공이 중국외교통상전공이고 전공심화를 선택한 학생
신청 절차
학교 전공심화 신청기간 및 절차에 따라 진행하고, 이후 아래의 세부전공 6과목을 수강 후에 전공학점으로 인정받아야 함 ('자선'->'전공' 이수구분)
'자료실-세부전공교류인정원' 양식을 작성하여 근무시간 내에 학부장실을 방문하여 날인 받은 후에 학종지 제출
이수교과: 전공필수과목 + 학부 경제/정치 7과목 + 세부전공 6과목 18학점
1) 전공필수과목: 기초중국어, 중국학개론, 생활중국어 (단, 특기자 및 유학생 여부에 따라 다를 수 있음)
2) 세부전공에 따라 '경제'또는'정치'에서 7과목 필수 이수 *과목 구분은 '이수교과' 참고
- 경제심화: 중국외교통상전공이 개설하는 ‘경제’ 7과목 15학점 이상
- 정치심화: 중국외교통상전공이 개설하는 ‘정치’ 7과목 14학점 이상
3) 세부전공은 경제학전공/경영학전공/국제통상학과/정치외교학과/국제학전공 6과목 18학점
- 경제심화: 경제학전공/경영학전공/국제통상학과 지정 6과목 18학점
- 정치심화: 정치외교학과/국제학전공 지정 6과목 18학점
*전공심화과정 학생은 반드시 경제트랙 또는 정치트랙 중에 하나의 트랙을 세부전공으로 선택
- 2023년 2학기부터
전공심화를 처음으로 신청하는 학생은 경제/정치 트랙 중 하나를 선택
경영학부 과목에 대한 수강 제한으로 기존의 있던 경영 트랙을 폐지하고, 두 가지 트랙을 운용함
| 심화트랙 |
중국경제 |
중국정치 |
|---|---|---|
| 세부전공 |
경제트랙 |
정치트랙 |
| 지정과목 |
경제학원론(1)(3학점) |
정치학개론(3학점) |
| 비고 |
* 경제학원론(1)(2)은 경제학과의 수업만 인정 |
* ‘중국정치’ 과목은 인정 불가 |
- 2023년 1학기까지
기존에 이미 경영트랙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은 기존 규정에 따라 학점 인정
| 심화트랙 |
중국경제 |
중국정치 |
|
|---|---|---|---|
| 세부전공 |
경제트랙 |
경영트랙 |
정치트랙 |
| 지정과목 |
경제학원론(1)(3학점) |
회계원리(3학점) |
정치학개론(3학점) |
| 비고 |
* 경제학원론(1)(2)은 경제학과의 수업만 인정 |
* 경제학원론은 경영학과의 수업만 인정 |
* ‘중국정치’ 과목은 인정 불가 |
부전공 전공과 전공심화 전공이 동일한 경우, 위 표의 지정 과목은 부전공 학점으로 인정됨
부족한 제1전공 학점은 1) 중국외교통상전공 경/정/공 수업이나 2) 부전공의 전공수업(전공심화 지정과목 이외의 과목을 제1전공 과목으로 인정)을 수강하여 이수함
중국언어문화학부 교차수강 or 해외교류 전공인정학점, 기타 전공학점인정 프로그램 : 24-25학점
학교 외국어 인증(졸업인증)
| FLEX(IBT 포함) |
FLEX 말하기 |
TOEIC |
TOEIC 스피킹 |
OPIc |
|---|---|---|---|---|
| 621점 이상 |
170점 이상 |
710점 이상 |
120점 이상 |
IM1 이상 |
※ 영어대학의 학과를 이중전공으로 하는 경우, 이중전공 졸업시험 통과 시 외국어인증으로 자동 처리됨
※ 면제 대상: 새터민(북한귀순자), 장애학생, 편입생, 군위탁생 (단, 편입생 및 군위탁생 중 이중전공 혹은 전공심화+부전공 이수생은 외국어인증 필수)
※ 대체 대상: 순수외국인전형, 초·중·고 전 교육과정 국외이수자 (전공 또는 이중전공을 언어관련 전공으로 하는 경우, 전공 또는 이중전공 졸업시험 통과 시 외국어인증으로 자동 처리)
학습 포트폴리오 과목 이수
가. 14학번이전 : 신입생 세미나, 진로설계세미나, 진로개발세미나(1)(2) - 총 4과목 필수 이수
나. 15학번부터 : 신입생 세미나, HUFS Career Design [필수] / 진로설계세미나, 진로개발세미나(1)(2) [선택]
구비 서류
가. 14-19학번
제1전공자 제출서류
1. 중국어 FLEX(600점 이상) 또는 HSK 6급 이상 성적증명서
2. 졸업신청서
3. 성적증명서 원본
4. 신분증 사본
나. 20학번부터
제1전공자 제출서류(순수외국인전형-중화권유학생 제외)
1. 중국어 FLEX(600점 이상) 또는 HSK 6급 이상 성적증명서
2. 졸업신청서
3. 성적증명서 원본
4. 신분증 사본
중화권유학생(순수외국인전형-중국, 대만, 홍콩, 마카오)
1. TOPIK(한국어능력시험) 5급 이상 성적증명서
2. 졸업신청서
3. 성적증명서 원본
4. 신분증 사본
+ 각종 서류 양식은 자료실 참고
서류 제출 시기
가. 중국어 어학시험
- 대상자: 졸업 신청서 제출 학생에 한해 제출 가능
(단, 조기 졸업자도 졸업 신청 시 제출 가능)
- 제출 서류: FLEX 중국어 또는 HSK 성적증명서
- 유효 기한: 모든 성적표는 시험 시행일 기준으로 2년 이내이어야 함(단, 외국어연수평가원의 수업을 수강하기 위한 성적표는 7학기 등록 이후에 응시한 시험의 성적표만 인정)
- FLEX 응시료는 졸업 요건을 충족한 경우 1회에 한해 환급 가능하며, 성적표 제출 시 환급 신청서 작성 (단, FLEX IBT와 HSK는 환급 불가)
- 제출 기간: 6월말과 12월말 (자세한 기간은 매 학기 게시하는 공지를 통해 확인 요망)
- 환급은 다음 학기 중반(1학기-5월, 2학기-11월)에 일괄 환급 예정
- 2회 이상 응시하였음에도 FLEX 또는 HSK 성적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,
외국어연수평가원의 "방학특별과정"(중국어, 중급 혹은 중급 이상의 과정) 이수로 대체 가능
→ 제출서류: ⓐ "방학특별과정" 수료증(1과목) ⓑ FLEX 또는 HSK를 2회 이상 응시한 성적표
다만, 취업으로 인해 위의 "방학특별과정" 수강이 불가한 경우에 한해서
외국어연수평가원 "주말특별과정"(중국어, 중급 혹은 중급 이상의 과정) 이수로 대체 허용
→ 제출서류: ⓐ "주말특별과정" 수료증(1과목) ⓑ FLEX 또는 HSK를 2회 이상 응시한 성적표 ⓒ 재직증명서 ⓓ 추가 과제
("방학특별과정"에 비해 시수가 더 적은 점을 고려하여 추가 과제를 부여하며,
자세한 내용은 졸업 신청서 접수 기간 전에 학부장실에 문의 요망)
단, 외국어연수평가원 이수 시 학부장실의 사전 승인을 득한 건에 한해 인정함
나. 졸업신청서: 졸업을 원하는 경우 매 학기 공지에 나와 있는 기간에 제출 가능
다. 모든 서류는 원본 제출을 원칙으로 함